빛나는 별, 엄마의 기억
728x90
반응형

알츠하이머병 11

25.04.04 인공지능(AI), 로봇, 알츠하이머병과 관련하여 노인 및 고령자에 초점을 맞춘 주요 뉴스

최근 인공지능(AI), 로봇, 알츠하이머병과 관련하여 노인 및 고령자에 초점을 맞춘 주요 뉴스를 요약해 드리겠습니다.1. AI 기반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연구 발전혈액 검사로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 가능성 제시AI를 활용한 알츠하이머병 연구 혁신2. 노인 돌봄을 위한 로봇 기술의 발전일본, AI 로봇으로 고령화 문제 해결 모색중국, 노인 돌봄 로봇의 국제 표준 제정 주도3. AI를 활용한 노인 건강 관리 및 돌봄 서비스 혁신휴대용 AI 시스템을 통한 뇌 기능 저하 감지AI 기반 로봇이 노인 돌봄의 경제성 향상에 기여 AI 기반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연구 발전스페인 칸타브리아의 발데시야 병원 연구진은 혈액 내 p-tau217 바이오마커를 활용하여 알츠하이머병을 95~97%의 정확도로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카테고리 없음 2025.04.04

알츠하이머병 신약 '레켐비' 피하주사 제형, FDA 심사 착수

바이오젠과 에자이가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레켐비'의 피하주사 제형이 새로운 이정표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주요 내용바이오젠은 2025년 1월 13일(현지시간), 레켐비 피하주사(SC) 제형에 대한 생물의약품허가신청(BLA)이 미국 FDA에 접수되었음을 발표했습니다. FDA는 8월 31일까지 승인 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레켐비 소개- 레켐비는 뇌 속 '아밀로이드 베타(Aβ)'를 제거하여 치매 진행을 근본적으로 늦추는 최초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입니다.- 2023년 FDA 승인을 시작으로 한국, 일본, 중국, 영국 등에서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17개국에서 추가 승인 절차가 진행 중입니다.피하주사 제형의 특징- 주 1회 360mg 용량으로 유지요법이 가능합니다.- 기존 정맥주사(IV) 초기 치료 ..

카테고리 없음 2025.01.20

뇌 건강을 위한 선택 '금주'

미국의 저명한 신경과학자이자 신경과 의사인 리처드 레스탁(Richard Restak) 박사께서는 65세 이후에는 완전한 금주를 권장하시며, 이는 고령자의 뇌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조언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레스탁 박사께서는 저서 ‘기억에 대한 완벽한 안내: 정신을 강화하는 과학’(The Complete Guide to Memory: The Science of Strengthening Your Mind)과 ‘치매 예방법’(How To Prevent Dementia)에서 알코올을 "신경 독소(neurotoxin)" 라고 명확히 지적하셨습니다. 이는 알코올이 뇌 기능 저하와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노년층에서는 기억력 감퇴, 판단력 저하, 그리고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

HSV-1 바이러스와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연관성 발견

HSV-1 바이러스와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연관성 발견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원인에 대한 새로운 단서가 발견되었습니다. 최근 발표된 연구에서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 조직에서 HSV-1(제1형 단순포진 바이러스) 관련 단백질이 발견되었는데요.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이 단백질들이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타우 단백질 엉킴 현상이 발생하는 부위에 집중적으로 분포해 있었다는 것입니다. 연구진은 실제 환자의 뇌 조직 분석뿐만 아니라 미니 뇌 모델을 활용한 실험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HSV-1 바이러스 감염이 타우 단백질의 양과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바이러스 감염이 알츠하이머병의 발병과 진행 과정 전반에 관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알츠하..

알츠하이머병 치료의 새로운 희망: SPLICER 편집 기술

알츠하이머병 치료의 새로운 희망: 유전자 편집 기술 '스플라이서(SPLICER)'최근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 연구팀이 유전자 편집 기술 '스플라이서(SPLICER)'를 활용해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Aβ) 전구체 단백질 생성을 억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다른 질병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유전자 편집 기술이란?유전자 편집은 인공적으로 특정 염기서열을 교정해 유전질환을 포함한 난치성 질환을 치료하는 목적의 기술입니다. 흔히 '유전자 가위'라고 불리며,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스플라이서'는 유전자 내 특정 엑손(유전자의 기능을 담고 있는 부분)을 건너뛰는 '엑손 스키핑' 기술을 활용합..

[2024.12.06]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레켐비', 멕시코에서 승인

에자이가 개발한 알츠하이머병(AD) 치료제 '레카네맙'(성분명)이 멕시코에서 승인을 받았습니다.  5일 에자이 홈페이지에 따르면 멕시코 연방 위생 위험 보호 위원회(COFEPRIS)는 레카네맙을 초기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승인했습니다.멕시코의 알츠하이머병 유병률은 약 130만 명으로 전체 치매 진단 환자의 60~70%를 차지합니다.레카네맙은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Aβ) 단백질을 제거하거나 축적을 막아 알츠하이머병 진행을 지연시키는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현재 레카네맙이 승인된 국가는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 일본, 중국, 홍콩, 이스라엘, 아랍에미리트, 영국 등입니다. 에자이는 이번 승인을 계기로 멕시코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사망 원인과 기전

알츠하이머병은 뇌세포가 점차 손상되면서 기억력, 언어 능력, 판단력 등 다양한 인지 기능이 저하되는 퇴행성 뇌 질환입니다. 이러한 뇌 기능의 저하가 심해지면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되는데, 그 원인과 기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특징알츠하이머병의 가장 큰 특징은 뇌에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beta)**라는 단백질이 쌓여 **플라크(plaque)**를 형성하고, 타우(tau) 단백질이 엉켜 **신경 섬유 엉킴(neurofibrillary tangle)**을 만든다는 것입니다.아밀로이드 플라크: 뇌세포 외부에 쌓이는 단백질 덩어리로, 뇌세포의 기능을 방해하고 죽음으로 이끕니다.신경 섬유 엉킴: 뇌세포 내부에 형성되는 단백질 섬유로, 세포 내 물질 수송을 방해하고 뇌세포를 ..

기억력 정보 2024.12.05

[2024.11.26, 국민일보] 초기 치매 진행속도 늦추는 ‘레카네맙’ 빨리 쓸수록 효과

알츠하이머병 치료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받는 신약 ‘레카네맙(상품명 레켐비)’이 다음 달 초 국내 첫선을 보인다. 일부 발 빠른 의료기관은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 시스템을 구축하고 신약 처방 준비에 들어갔다.레카네맙은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경도 인지장애(치매 전 단계)와 경증 치매 환자의 기억력 저하 등 인지기능 악화를 늦추는 효과가 입증된 치료제다. 지금까지 알츠하이머병에는 증상을 일부 완화하는 약물만 존재했는데, 20년 만에 질병의 진행 속도를 지연해 주는 신약이 등장해 의료진과 환자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하지만 이 주사제를 사용하려면 투약 전 꼭 필요한 검사가 있고 뇌 관련 부작용이 따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검사 인프라를 갖추고 부작용 발생에 따른 대처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곳에서 투..

[2024.11.04, 뉴스1] 치매학회 "신약 '레켐비',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에 투약 권고"

https://www.news1.kr/bio/pharmaceutical-bio/5589440 치매학회 "신약 '레켐비',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에 투약 권고"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www.news1.kr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국내 출시를 앞둔 알츠하이머병 신약 '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가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경도인지장애나 경도 알츠하이머병에 쓰여야 한다는 치매 전문가들의 권고안이 나왔다.다만 경도 알츠하이머병이 중등도 이상의 치매로 나빠졌을 때도 투약을 계속해야 할지에 대해 "효능과 안전성이 알려진 바 없어 이번 권고안에서는 제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4일 대한치매학회는 진료 현장에서 이 약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레카네맙의 적절한 사용을 위한 ..

[2024.10.15, 의사신문] “나이 들어 생기는 치매일수록 혈관 관리 중요”

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9404 “나이 들어 생기는 치매일수록 혈관 관리 중요” - 의사신문65세 이상 고령에서 발병한 알츠하이머 치매는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등 혈관질환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노영 교수와 연세의대 예www.doctorstimes.com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노영 교수 공동연구팀 발표“만발성 치매, 조발성 치매에 비해 혈관위험인자 기여도 높아”65세 이상 고령에서 발병한 알츠하이머 치매는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등 혈관질환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노영 교수와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조재림 ..

728x90
반응형